도드넷
정보처리기능사 필기#21 - us단위 기묘한 u! μs란? 본문
정보처리기능사 필기 요점정리#21 - 변복조방식과 전송에러
1. 변복조방식
- 디지털 <-> 아날로그
- 주파수변조 FSK : 1200 이하 저속, 제어회로 필요
- 진폭변조 ASK :
- 위상변조 PSK : 정현파, 레벨변동영향 적음
- 직교변조 QAM :
* 4진 PSK 변조에서 1000 Baud의 변조속도일때 전송속도는?
= 1000 / (4/2) = 500 bps
2. PCM 펄스부호변조
- 펄스 후보 변조방식
- 과정 : 표본화 → 양자화(PCM) → 부호화 → 전송 → 복호화
- 최고주파수 = w
- 표본화주파수(샘플링) = 2w
- 표본화주기 = 1 / 2w
* us단위 : us라는 단위? u가 기묘한 모양인데 μ 요래 생겼다. μs 이것은 마이크로세컨드를 의미하는 단위로
1μs = 0.000001초에 해당한다. 즉 1,000,000μs = 1초 라는 뜻이다.
3. 전송제어문자
- ASK NAK
- SYN
- STX EXT
- SOH
- EOT
- ETB
- ENQ (응답요청)
4. 전송에러
- 백색잡음 : 인간가청범위, 열에의한 발생
- 충격성잡음 : 기계적 충격, 불량
- 위상변화잡음 : 위상지터(연속변화), 위상히트(불연속 순간변화)
- 상호변조잡음 : 이웃 채널끼리
- 누화 : 전기 정전기적 결함, 새어나감
* 등화회로 : 에러 보완및 보상 지연왜곡 방지
5. 전송에러 제어방식
- 패리티 : 기수(1의 개수가 홀), 우수(1의 개수가 짝)
- 일정비 : 정마크, 2 out of 5, 비퀴너리, 0과 1개수 일정히유지
- 정비대기 ARQ : 블록별 긍정답 부정답 기다림
- 연속 ARQ : 데이터블록 연속 송신
- 적응적 ARQ : 블록길이 동적변경, 효율극대화, 구현힘듬
- 전진오류수정 : 정정할수있는 코드를 함께 보냄으로 수신측에서 재전송없이도 복구할수있게 해줌
- 순환잉여검사 : 다항식 코드 집단오류검사, 매우 정확하고 신뢰높음
- 해밍코드 : 오류검출및 수정, 2개이상의 오류 검출 불가, 7비트 구성 1,2,4비트는 오류검출용 나머지는 8421코드
* 해밍코드 개수
- d는 Hamming Distance
- 수정가능 : d-1
- 정정가능 : d 짝수 d-2 / 2, d 홀수 d-1 / 2
'창고 > 정보처리기능사[완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능사 필기#23 - 정보통신망 (0) | 2016.03.30 |
---|---|
정보처리기능사 필기#22 - 프로토콜와 OSI 7계층 (0) | 2016.03.29 |
정보처리기능사 필기#20 - DCE, 임피던스, 보오(Baud) (0) | 2016.03.27 |
정보처리기능사 필기#19 - 전산영어 (0) | 2016.03.26 |
정보처리기능사 필기#18 - UNIX (0) | 2016.03.25 |